코딩 테스트 정복기/프로그래머스

[프로그래머스/level 2] 전력망을 둘로 나누기 - 86971

settong 2024. 12. 4. 11:18
반응형

[level 2] 전력망을 둘로 나누기 - 86971

문제 링크

성능 요약

메모리: 83 MB, 시간: 11.92 ms

구분

코딩테스트 연습 > 완전탐색

채점결과

정확성: 100.0
합계: 100.0 / 100.0

제출 일자

2024년 11월 26일 18:27:25

문제 설명

n개의 송전탑이 전선을 통해 하나의 트리 형태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당신은 이 전선들 중 하나를 끊어서 현재의 전력망 네트워크를 2개로 분할하려고 합니다. 이때, 두 전력망이 갖게 되는 송전탑의 개수를 최대한 비슷하게 맞추고자 합니다.

송전탑의 개수 n, 그리고 전선 정보 wires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전선들 중 하나를 끊어서 송전탑 개수가 가능한 비슷하도록 두 전력망으로 나누었을 때, 두 전력망이 가지고 있는 송전탑 개수의 차이(절대값)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n은 2 이상 10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
  • wires는 길이가 n-1인 정수형 2차원 배열입니다.
    • wires의 각 원소는 [v1, v2] 2개의 자연수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는 전력망의 v1번 송전탑과 v2번 송전탑이 전선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1 ≤ v1 < v2 ≤ n 입니다.
    • 전력망 네트워크가 하나의 트리 형태가 아닌 경우는 입력으로 주어지지 않습니다.

입출력 예
n wires result
9 [[1,3],[2,3],[3,4],[4,5],[4,6],[4,7],[7,8],[7,9]] 3
4 [[1,2],[2,3],[3,4]] 0
7 [[1,2],[2,7],[3,7],[3,4],[4,5],[6,7]] 1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 다음 그림은 주어진 입력을 해결하는 방법 중 하나를 나타낸 것입니다.
  • ex1.png
  • 4번과 7번을 연결하는 전선을 끊으면 두 전력망은 각 6개와 3개의 송전탑을 가지며, 이보다 더 비슷한 개수로 전력망을 나눌 수 없습니다.
  • 또 다른 방법으로는 3번과 4번을 연결하는 전선을 끊어도 최선의 정답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

입출력 예 #2

  • 다음 그림은 주어진 입력을 해결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입니다.
  • ex2.png
  • 2번과 3번을 연결하는 전선을 끊으면 두 전력망이 모두 2개의 송전탑을 가지게 되며, 이 방법이 최선입니다.

입출력 예 #3

  • 다음 그림은 주어진 입력을 해결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입니다.
  • ex3.png
  • 3번과 7번을 연결하는 전선을 끊으면 두 전력망이 각각 4개와 3개의 송전탑을 가지게 되며, 이 방법이 최선입니다.

출처: 프로그래머스 코딩 테스트 연습,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hallenges

 

 

 

제출 코드

전선을 하나씩 끊으며, dfs 탐색을 통해 한 전력망이 몇개의 송전탑을 갖는지 확인한다. (=cnt)

`총 송전탑 개수 - cnt`는 나머지 한 전력망이 갖고 있는 송전탑의 개수이다.

이 두 전력망의 송전탑 수의 차를 계산하여 가장 큰 값은 반환한다.

import java.util.*;
class Solution {
    int[][] map;
    boolean[] visited;
    int cnt;
    int n;
    
    void dfs(int i){
        visited[i] = true; // 방문 표시
        cnt ++; // 재귀호출 될 때 마다 cnt+1 해주기
        for(int next=0; next<n+1; next++){
            // 이어져있고, 방문한 적 없는 네트워크면 재귀호출
            if(map[i][next] == 1 && !visited[next]){ 
                dfs(next);
            }
        }
    }
    
    
    public int solution(int n, int[][] wires) {
        // map, visited 초기화
        map = new int[n+1][n+1];
        visited = new boolean[n+1];
        this.n = n;
        
        // map 채우기
        for(int[] wire : wires){
            map[wire[0]][wire[1]] = 1;
            map[wire[1]][wire[0]] = 1;
        }
        
        int answer=100;
        
        // 전력망 하나씩 끊어서 두 전력망의 송전탑 개수 차이 구하기.
        for(int[] wire : wires){
            // wire[0]에서 wire[1]로 가는 전력망 끊기
            map[wire[0]][wire[1]] = 0;
            // dfs 호출
            cnt = 0; // cnt 초기화
            Arrays.fill(visited, false); // vistited 초기화
            dfs(wire[0]); // wire[0]이 있는 전력망 탐색
            
            // 두 전력망 송전탑 개수의 차(cnt와 n-cnt의 차) 구하고 answer값과 비교 후 변경
            answer = Math.min(answer, Math.abs(cnt-(n-cnt)));
            
            // wire[0]에서 wire[1]로 가는 전력망 다시 이어주기
            map[wire[0]][wire[1]] = 1;
        }
        
        return answer;
    }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