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모든 자료는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Naver Cloud의 공인교육과정을 참고하였으며,
Naver Cloud Professional 자격증을 준비하시는 분들께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까하여 정리해두었던 내용을 공유합니다.
2023년에 작성된 내용이며, VPC Platform 기반의 강의 내용을 정리한 것이니 참고 바랍니다.
Backup 서비스?
- 서버 내 파일 및 Preinstall DB에 대한 백업 설정
- 최소 7일~ 최대 52주까지 백업 파일 보관 가능
- 소산 및 존 분산 가능
- 콘솔에서 Storage 카테고리 내 Backup 에서 신청 가능
백업 방식
Full Backup
- 모든 데이터를 찍어서 백업 파일로 보관하는 것
- 장점 : 생성일 기준으로 리스토어가 빠르고 간편
- 단점 : 백업 공간이 매우 커짐
증분 Backup
- 한번 full backup 받고 이후에는 증가된 부분만 백업하는 방식
- 장점 : 백업 공간이 절약된다.
- 단점 : 리스토어시 처음 풀 백업된 부분 + 순차적으로 증분된 부분 데이터를 복원. 시간이 오래걸림
차등 Backup
- 한번 full backup 받고 이후에는 이후 증가된 부분만 전체 백업
- 장점 : 리스토어시 full back 부분 + 원하는 시점 데이터 복원하면 되기 때문에 증분 Backup과 비교하여 시간이 덜 걸림
- 단점 : 증분 backup과 비교하여 백업 공간이 커짐.
서버 내 Data 및 Preinstall DB에 대한 백업 설정
- 네이버 클라우드 웹 콘솔 → Storage 메뉴 → Backup에서 간단한 설정을 통해 백업 가능
- 백업을 수행할 서버를 백업 리소스에 에이전트 설치부터 백업 정책 구성까지 완료
- 백업 서비스 유형
- 파일 시스템 백업 : 서버(VM, BM)의 데이터 백업 (디렉토리 단위로 백업 가능)
- 데이터베이스 백업 : 서버 이미지로 제공하는 버전의 MSSQL, MySQL, PostgreSQL 온라인 백업
- 백업 수행 주기로 8가지 옵션 제공
- (1회성 / 1일 1회 전체 백업 / 1주 1회 전체 백업 / 1주 1회 전체 백업 & 매일 증분 백업 등)
- 최소 7일 ~ 최대 52주까지 백업 파일 보관 가능, 단일 서버의 하루 백업 최대 용량은 1TB
728x90
반응형
'Devops > Naver Cloud'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2) - Load-balancer (2) | 2024.12.13 |
---|---|
Network(1) - VPC (Subnet, NACL, NAT Gateway) (0) | 2024.12.12 |
Storage(2)- Naver Cloud의 Storage 서비스 (Object Storage, Archive Storage, Nas) (0) | 2024.12.10 |
Storage(1) - File System (1) | 2024.12.09 |
Naver Cloud의 Kubernetes service(+Kubernetes의 기본 개념 ) (4) | 2024.1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