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메모리(1) - 페이지테이블, TLB
·
Computer Science/Operating System
가상 메모리(Virtual Memory)란?가상메모리는 OS에서 사용되는 메모리 관리 기법의 하나로 컴퓨터가 실제로 이용가능한 메모리 자원(실제 주소, physical address)을 추상화 하여 이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에게 매우 큰 메모리로 보이게 만드는 것이다.  ☑️ 가상 메모리의 장점 1. 주기억장치의 효율적인 관리(스와핑)하드디스크를 주기억장치에 대한 캐시로 설정. 쓰지않는 영역은 하드디스크로 옮긴 뒤 필요할 때만 램에 데이터를 불러와 올리고 사용하지 않으면 하드디스크로 내림으로써 램을 효과적으로 관리.2. 메모리 관리의 단순화각 프로세스마다 가상 메모리의 통일 된 주소 공간을 배정할 수 있으므로 메모리 관리가 단순해짐.3. 메모리 용량 및 안정성 보장가상메모리 공간은 거의 무한하다고 생각해도 ..
시스템 콜(System Call), 사용자 모드(User mode), 커널 모드(Kernel mode), modebit
·
Computer Science/Operating System
시스템 콜(System Call) 운영체제는 사용자 모드(User mode)와 커널 모드(Kernel Mode)로 나뉘어 동작한다. 이를 이중 동작 모드(Dual Mode Operation)라고 한다. 사용자 모드는 하드웨어에 직접적으로 접근할 수 없고, 커널 모드는 모든 시스템 메모리와 CPU Instruction 뿐만 아니라 하드웨어에도 직접 접근이 가능하다.이렇게 이중 동작 모드로 사용자가 하드웨어와 직접적으로 상호작용 하는 것을 막아 시스템을 보호한다. 대신, 사용자는 시스템 콜(System Call)을 통해 커널모드로 접근할 수 있다. ※ 시스템콜 :운영체제의 커널이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해, 응용 프로그램의 요청에 따라 커널에 접근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유저] --> [시스템콜] --> [커널 함..
HTTP vs HTTPS, SSL/TLS
·
Computer Science/Network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기본 포트 : 80인터넷 상에서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자원을 주고 받을 때 쓰는 통신 규약.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텍스트 기반 프로토콜: HTTP는 텍스트 명령을 사용하여 요청과 응답을 주고 받음.- 기본 HTTP는 데이터가 평문으로 전송되므로, 중간에 패킷을 가로채기 쉬움 무상태 프로토콜: 각 요청과 응답이 독립적이며, 서버는 이전 요청에 대한 정보를 유지하지 않음.- 웹 애플리케이션이 각 요청에 대해 별도로 인증 및 상태 정보를 전송해야 함을 의미- 헤더 오버헤드 : 쿠키, 사용자 에이전트, 각종 커스텀 헤더 등이 요청마다 반복적으로 전송 -> 대역폭과 리소스 소모 증가   HTTP(Hypertext Transfer Proto..
HTTP/1.0, HTTP/1.1, HTTP/2.0, HTTP/3.0(QUIC)
·
Computer Science/Network
HTTP/1.0특징 :수명이 짧은 연결요청 당 TCP handshake가 발생됨. 한 연결 당 하나의 요청 처리.문제점 :RTT(Round Trip Time)가 늘어나는 문제점.HTTP 1.0 환경에서는 하나의 IP에 여러 개의 도메인을 운영할 수 없음.RTT 감소를 위해 이미지 스프라이트(image sprite), 코드 압축, base64인코딩 등 시행   HTTP/1.1특징 :한번 TCP 연결을 해놓고 계속 데이터를 주고 받음. (keep-alive default)서버가 여러 호스트를 가질 수 있다는 전제로 호스트 헤더를 추가함.다운로드 받다가 연결 끊기면 다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함. (대역폭 최적화에 대한 헤더를 추가)문제점 :HOL(Head Of Line-Blocking) : 네트워크에서 ..
암호화 - 단방향 vs 양방향, 대칭키 vs 비대칭키(개인키/공개키), 암호화 알고리즘
·
Computer Science/Network
암호화(Encryption)란?암호기술은 중요한 정보를 읽기 어려운 값으로 변환하여 제 3자가 볼 수 없도록 하는 기술이다. 정보 보안의 핵심 원칙에는 기밀성, 무결성, 인증이 있다.기밀성(Confidentiality) : 허가받은 자만 정보에 접근할 수 있다.무결성(Integrity) : 허가받은 자만 변경해야한다.즉, 무결성은 제 3자에 의한 정보의 변경이 있는지 없는지를 확인하는 기능.인증(Authentication) : 사용자나 객체의 디지털 정체성을 식별한다.암호화란 위의 세가지 원칙중 "기밀성"을 중심으로 하는 기술이다. (그렇다고 다른 원칙들과 무관한 것은 아님)   단방향(One-Way Encryption) vs 양방향(Two-Way Encryption)평문을 암호문으로 (=암호화), 암호..